728x90 반응형 행동5 사고의 다양성: 나라별 특성과 한국인의 자세 사고의 다양성: 나라별 특성과 한국인의 자세 우리는 각 나라의 사람들이 사고하고 행동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문화적인 영향과 개인의 성향, 교육 수준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를 흥미롭게 비유한 것이 일본, 중국, 미국, 한국 사람들의 특성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생각한 후에 행동합니다. 그들은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자신의 선택을 고려한 후에 결정을 내립니다. 이는 일본의 문화적 특성 중 하나로, 조화롭고 안정적인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중국 사람들은 일단 뛰고 난 뒤 생각합니다. 그들은 도전적이며 즉각적인 행동을 선호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과 개발에 대한 열정과 결부되어 있습니다. 미국 사람들은 생각하면.. 2024. 4. 16. '바른 안목으로 보는 세상' '바른 안목으로 보는 세상' 오늘은 함께 '바른 안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바른 안목'이란 무엇일까요? 왜 그것이 공부의 핵심이며, 우리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보통 사람을 평가할 때 그들의 행동을 주로 보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바른 안목'은 단순한 행동이나 결과물을 넘어 그것들이 도달하는 근본적인 이치나 가치를 보는 것입니다. 즉, 지식과 진실에 기반한 인식력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왜 행동보다 안목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걸까요? 이것은 우리가 세상을 보는 시각에 대한 문제입니다. 행동은 특정한 상황에서의 결과물이므로 변화할 수 있지만, 안목은 그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이므로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목이 바르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 2024. 4. 7. 솔직한 말과 행동을 해야 한다 예수께서 나다나엘이 자기에게 오는 것을 보시고 그를 가리켜 이르시되 보라 이는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 (요 1:47) -예화를 통한 진리중 한 왕이 하루는 신하들을 불러 놓고 자신에 대한 평가를 부탁했다. 신하들이 한 사람씩 왕 앞에 와서 온갖 아첨을 다 떨었다. 그런데 한 신하는 자기 차례가 오자, "왕이여, 왕께서는 저희와 마찬가지로 약점이 있고 실수가 많은 한 인간에 불과하다는 점을 인정하소서." 왕은 그 말을 듣고 잠시 생각에 잠겨 약속대로 이 사람을 제외한 다른 신하들에게 보석을 주었다. 다음날 신하들이 왕에게 황급히 뛰어와 말했다. "왕이시여, 저희에게 주신 그 보석은 모두 가짜였습니다." 왕은 그 말에 당연하다는 듯이 대답하였다. "그대들의 말이 거짓이었던 것.. 2023. 6. 30.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을 보면, 재배대오의 두 아들의 어머니는 예수님께 청합니다. 하느님 나라가 오게 되면, 자신의 두 아들을 주님의 양편에 앉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영광을 차지하려면 반드시 고난의 잔을 마셔야 한다고 일러주지 않습니까? 고난의 잔은 십자가를 지는 것을 말한다. 십자가 없는 영광이란 생각할 수도 없지요. 아울러 예수님께서는 봉사하는 자세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그것은 세상 사람과는 달리 남을 섬기는 삶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지요. 2023.07.30 - [좋은 글] - [오늘의 독서]살면서 쉬웠던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 박광수 [오늘의 독서]살면서 쉬웠던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 박광수 행운이나 행복한 날은 까닭 없이 내 마당으로 날아 들어오는 파랑새처럼 찾아오는 것이 아니었다 .. 2023. 6. 20. 말씀을 듣고 깨닫는 사람은 열매를 맺는다 이스라엘 백성은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들어가고자 자신들의 삶을 새롭게 해야만 했습니다. 오랜 기간 이집트에서 겪은 삶과 문화가 그들의 모든 것을 바꿔놓기 때문입니다. 그런 만큼 진정한 탈출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런 갈림길에서 선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십계명을 내려주십니다. 그리고 그 십계명의 정신을 지켜 감으로써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새로운 삶을 요구하신 것입니다. 아울러 주님께서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모든 형태의 억압에서 탈출하시기를 바라십니다. 오늘 복음은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입니다. 씨가 어디에 뿌려졌는가에 따라 그 결실이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씨를 '언제, 어디에, 어떻게 뿌리느냐?' 이 문제가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 역시 많은 씨앗을 늘 뿌리고 있습니다... 2023. 6.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