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모6 부모의 역할: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역할: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가 아이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하며, 이 영향은 아이들의 미래를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아이들은 어떻게 자랄지, 그들의 가치관, 행동,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부모가 큰 역할을 합니다. 이제 부모의 주요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안전과 보호 부모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 중 하나는 아이들의 안전과 보호입니다. 아이들은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안전하고 보호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아이들을 지켜야 합니다. 2. 기초 생활 기술 교육 부모는 아이들에게 생활의 기초를 가르쳐야 합니다. 이는 식사 준비, 개인 위생, 옷 입기, 재산 관리 등을 포함합니다.. 2023. 10. 12. 잔소리가 심한 사람은 되게 무능력한 사람이기도 하다 잔소리가 심한 사람은 대개 무능력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행복에 이르는 길/ 허성준 저 가족: 우리 삶의 중심과 의미 가족: 우리 삶의 중심과 의미 가족은 우리 삶의 중심에 자리하며, 우리의 끝없는 지원과 사랑의 근원입니다. 그들은 우리와 함께 성장하고, 우리를 이끄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가족의 중요한 khby7839.tistory.com 자녀가 자신의 무능력함을 알고 비웃을까 봐 먼저 비현실적인 요구, 잔소리를 퍼붓습니다. 얼마나 심한지 정신을 못 차릴 지경입니다. 아이는 이런 부모를 존경할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기도 그렇게 못하면서' 하고 속으로 분노를 쌓아갑니다. '내가 네 나이 때는 그러지 않았는데 어쩌고, 너는 나 때보다 훨씬 좋은 여건에서 그것밖에 못하냐 저쩌고' 하며 아이.. 2023. 6. 29. 자녀에게 부모만한 역할 모델은 없다 결과에 따르면 '당신의 자녀가 당신을 닮아도 좋습니까?' 라는 질문에 90% 이상의 성인 남녀가 '절대 안 된다'라고 대답했다 한다. 이는 자녀가 자신보다 나은 삶을 살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어서였겠지만, 부모 스스로 자녀의 모범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반성의 결과이기도 했다. 경기고등학교라고 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 고등학교이자, 1970년대 초 고교평준화 제도 실시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최고의 명문고등학교였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는 'KS'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였다. 이 말은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나온 인재들을 부르는 말이었다. 그런 만큼 고교평준화 이전의 경기고등학교를 나온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지금도 우리나라 각계각층이 원로, 혹은 중진으로 대접을 받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몇 년 전에 우.. 2023. 5. 24. 자발성과 주도성에서 꽃피는 창의성 요즘 부모의 관심은 아이에게 어떻게 창의성을 가르치고 길러줄 것인가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너도 나도 창의성이 아이의 학업 수준과 미래를 결정짓는다고 외친다. 부모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만큼 창의성은 언제나 부담스럽고 어려운 문제다. 무엇이 창의성인지 혼란스럽기도 하고 '내가 정말 아이를 창의적으로 키우고 있을까?' 불안하기도 하다. 하지만 창의성이란 그렇게 대단한 특성이 아니다. 타고나는 것도 아니고 머리가 좋고 천재적인 아이만 가질 수 있는 능력도 아니다. 창의성은 아이의 개성을 충분히 존중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내 아의 부자 수업/ 김금선 "모든 아이가 창의적이다. 단지 교육을 통해서 비창의적인 아이로 커갈 뿐이다"라는 말이 있다. 자기만의 잠재력, 창의성, 개성을 타고난 아이들을 일방적.. 2023. 5. 14. 아이를 강도로 키운다 유대인의 경제 교육은 단순히 집안에서만, 또는 토론토론으로만 이뤄지지 않습니다.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노동을 경험하게 한 뒤 돈의 의미를 가르칩니다. 내 아이의 부자 수업/ 김금선 유대인은 아이가 다섯 살 무렵부터 아이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을 시킵니다. 옷을 제대로 벗어 개어놓는다든가 간단한 신발 정리 등 아이가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시킵니다. 그러다 열 살이 되면 조금 더 강도 높은 노동을 시키고 수거비를 줍니다. 가령 물건을 사 오거나 설거지를 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은 노동을 통해서 돈을 번다는 사실을 가르치고 몸을 수고롭게 움직여야만 그 대가가 주어진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합니다. 유대인이 이러한 과정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이런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아이에게 노동의 대가를 가르치.. 2023. 5. 12. 돈은 무조건 안 쓰는 것이다 돈은 무조건 안 쓰는 것이다 한때 시청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재테크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슬로건이었습니다. 잘못된 소비를 하는 사람에게 '스투비드! 를 외치고 돈을 아끼는 사람에게는 아낌없이 '그레이트'라고 외치며 칭찬해 주는 콘셉트의 방송이었습니다. 그때 많은 사람이 이 방송 취지에 공감했던 모양인지, 이 말은 꽤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내 아이의 부자 수업/이금만 2023. 5. 1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