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치심2 수치심을 치유하려면 수치심을 치유하려면 수치심은 자신의 능력, 행동 또는 모습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이로 인해 자아 존중감이 훼손될 수 있다. 수치심을 치유하려면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자기 인식 개선: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장점을 발견, 인정하는 것,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존감을 키우는 과정을 시작하자. * 과거를 받아들이기: 과거의 실수나 부족함을 자책 말고, 그 경험들로부터 배움을 얻을 수 있도록 생각해 보자. 실패와 실수는 성장의 기회다. * 자기 자비: 자신에 대해 너무 엄격하게 평가하지 않도록 노력,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자기 자신을 더 친절하게 대하도록 하자. * 긍정적인 자아 대화: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 긍정적인 자아 대화 실천, 부정적인 자화상을 긍정적으.. 2023. 8. 19. 당신은 배우자를 무시하지 않는가? 남편과 아내 사이/ 김준기 지음 배우자와 대화할 때 자신이 배우자의 의견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는지 체크해 보자. 다음에 12개의 문항 중 5개 이상이 해당한다면 상대방의 의견을 잘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 기본적인 문제에 대한 배우자의 의견에 귀 기울이지 않는 편이다. - 때때로 배우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폄하한다. - 항상 리드하고 군림하려는 편이다. - 한번 마음먹으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좀처럼 들으려 하지 않는다. - 배우자의 말을 건성으로 듣는 경향이 있다. - 배우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려고 하지 않는다. - 의견이 엇갈리면 배우자를 설득해 포기하게 만드는 편이다. - 배우자보다 부모님의 의견을 항상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 배우자가 내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도 생각대로 하는 편이다.. 2023. 6.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